본문 바로가기

공부하는 뚱이/경제 공부

경제용어 | '디드로 효과'의 뜻과 장점 및 단점

반응형

 

 

안녕하세요. 티끌 모으는 뚱이입니다

오늘은 빠져나올 수 없는 소비 심리를 일컫는 '디드로 효과(Diderot Effect)'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🔎 디드로 효과(Diderot Effect)의 뜻


'디드로 효과'란 18세기의 프랑스 철학자인 드니 디드(Denis Diderot)의 에세이 '나의 오래된 가운을 버림으로 인한 후회'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요. 디드로가 친구에게서 빨간 가운을 선물받아 옷걸이에 걸어두었는데, 선물받은 빨간 그 가운이 기존의 디드로가 가지고 있던 낡은 가운들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가운과 어울리도록 주변 가구들을 빨간색 계열의 새 가구로 바꾸게 되었다고 합니다. 그러다보니 모든 가구를 새 것으로 바꾸게 되었다고 하는데요. 이처럼 어떤 물건을 구입하고 난 뒤, 새로운 물건과 어울리도록 다른 물건들까지 다 갖추려는 것을 '디드로 효과'라고 말합니다.

 

또 하나의 예를 들어볼까요?

등산이라는 운동을 하기 위해 처음에는 등산화를 구입합니다. 구입하고 보니 등산화와 어울리는 등산복을 가지고 싶게 되죠. 등산복을 구입하고 나니 왠지 등산용 백팩, 등산용 모자, 심지어 등산용 장갑까지 갖추어야할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. 그러다 정신차리고 보면 그냥 집 뒤의 동산을 올라가려고 했을 뿐인데, 전문 등산가의 장비를 갖추게 되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. 어떠신가요? 이해가 좀 되시나요? '디드로 효과'는 마치 '배보다 배꼽'이라는 속담이 절로 떠오르게 하는 단어라고 할 수도 있죠.

 

 

 

🔎 디드로 효과 ≒ 충동구매


사람들은 새로운 물건을 구매할 때 이와 어울리는 물건을 추가 구매함으로써 본능적으로 심미성과 정서적인 동질성을 추구한다고 하는데요. 그래서 물건을 구매할 때 충동구매를 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데, 구매의 연쇄성을 불러 있으키는 '디드로 효과'도 충동구매의 일종으로 취급된다고 합니다.

 

 

 

🔎 디드로 효과를 이용한 마케팅


이러한 디드로 효과는 마케팅이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. 패밀리 룩이나 커플룩 또는 전자기기 등 디자인의 통일성(시리즈물)으로 구성된 것들이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. 그래서 '디드로 통일성'이라고도 불리기도 한다고 합니다.

 

 

 

🔎 디드로 효과의 장점과 단점


이러한 '디드로 효과'를 통해 기업은 제품의 통일성과 연속성으로 고객의 충성도로 이어지게 할 수 있으며, 현대사회에서는 소비 촉진과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

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물건까지 구매 하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과소비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오늘은 이렇게 '디드로 효과'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. 무엇인가 구매할 때 나도 모르게 충동구매를 하게 될 것만 같다면 구매의 연속성, 불필요한 구매로 이어지는 충동구매를 나타내는 '디드로 효과'를 떠올린다면 보다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.

반응형